
존 윌리엄스의 장편소설 스토너는 1965년에 씌여졌다.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다 저자가 사망하고 나서 최근에야 각광을 받기 시작한 특이한 케이스.
우리나라에서도 소설 분야에 늘 10위권 안에 들어가는 소설이라 읽었는데 너무나 애잔하고 잔잔하며 재미난 소설이었다.
윌리암 스토너라는 한 남자의 일생을 그린 소설. 미주리 대학에서 평생을 영문과 교수로 재직한 스토너는 1891년에 미국에서 태어났다. 어릴적 가난한 부모밑에서 농장의 농부로 부모일을 돕다가 농과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대학을 들어갔지만 여기서 만난 아처 슬론교수의 영향을 받아 영문과로 옮기게 된다.
대학을 졸업하고 고향 분빌로 돌아가지 않고 평생 교직을 하기로 마음 먹은 스토너가 부모에게 이 뜻을 말할때 너무나 순진한 부모님의 모습, 부모님의 허락을 받고 결국 박사과정에 들어간다. 여기서 데이비드 매스터스, 고든 핀치를 사귀게 된다.
이때 1차 대전이 발발하여 매스터스 와 핀치는 전쟁에 지원하고 스토너는 지원하지 않고 계속 교직의 길을 걷는다. 주위의 눈총이 따가왔지만 버틴다. 매스터스는 전쟁에서 사망하고 핀치는 돌아와 스토너보다 높은 영문학의 과장으로 부임하지만 둘은 평생 친하게 지낸다.
문리대 학장인 조시아 클레어몬트의 리셉션 행사에서 이디스 엘레인 보스트윅이라는 여성을 보고 한눈에 반한 스토너는 결국 그녀의 부모님을 찾아서 허락을 받아내고 결혼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이디스는 스토너를 별로 사랑하지 않았고 언제나 그를 냉냉하게 대하고 부부관계도 갖지 않다가 결혼후 3년째에 들어서자 아기를 갖고 싶다고 자진해서 부부관계를 요구하며 결국 딸 그레이스를 낳는다.
1924년 스토너의 스승인 아처 슬론이 사망하고 고든 핀치는 부학장에 취임하지만 스토너는 보직을 얻지 못하고 관심도 없는것 같았다. 여기서 아처 슬론의 후임자 로맥스가 교수로 부임한다. 그는 이후로 스토너와 척을 이루는 악당같은 교수가 된다.
부모님은 돌아가시고 스토너는 계속 교수(부교수까지만 진급했다)로 재직하다 1929년 대공항이 오자 사업자였던 이디스의 아버지가 자살한다.
팔스 워커라는 박사과정 2년차의 학생이 스토너의 세미나를 들으러 신청하지만 그의 태도나 학습능력등이 매우 모자라 스토너는 F학점을 주고 불합격 시킨다. 워커는 로맥스의 제자로 로맥스는 스토너에게 워커를 살려달라고 부탁하지만 스토너는 그가 오면 대학의 재앙이라며 결국 탈락시킨다.
로맥스가 학과장이 되며 스토너에게 압박을 가하고 스토너의 강의를 축소시킨다. 스토너는 캐서린 드리스콜이라는 청강생이자 강사인 여인의 논문을 읽고 감동하여 논문 지도를 해주며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
매일 그녀 집에 찾아가 사랑을 나누고 연애하지만 주위 사람들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아내 이디스나 주위사람들 모두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결국 캐서린은 로맥스가 해고 하려하고 캐서린은 스토너와 마지막 사랑을 나누고 미주리 대학을 떠난다.
딸의 교육도 이디스는 자기 멋대로 시키고 미국 동부로 가고 싶어하는 그레이스를 자기 곁을 떠나지 말라며 미주리 대학에 입학시킨다. 그레이스는 에드 프라이라는 남학생의 아이를 임신하고 이디스는 둘을 결혼시킨다.
에드 프라이는 2차대전에서 남태평양 한 섬에서 전사하고 그레이스는 아들을 낳고 평생 키운다. 그러나 알콜 중독에 빠지며 가끔 스토너를 방문하며 산다.
스토너는 65세에 정년퇴임이지만 2년 더 연장하고 싶어한다.
로맥스는 어떻게 하든 스토너를 퇴임시키려고 하고 핀치는 스토너를 보호하려 한다. 이 시기에 스토너는 암에 걸려 수술을 받게 되며 저절로 정년퇴임을 하게 된다.
결국 수술후 얼마지나지 않아 스토너는 병원에서 사망한다.
이 소설은 너무나 순차적인, 장면의 전환이 없는 스토너라는 한 남자의 일생을 담담히 그렸다. 이것이 이 소설의 재미이자 감동포인트가 되는 것 같았다.
평생 대학의 부교수로 재직하며 성공과는, 사랑과는 멀었던 스토너의 일생. 그에게는 악마였던 이디스, 로맥스, 워커와 그에게 천사였던 핀치, 그레이스, 케서린이 교차하며 그는 살았다. 결국 로맥스와 이디스가 이겼는가. 스토너가 가장 빨리 사망했으므로... 스토너의 인생 자체는 선함 이었다.
선함으로 살아왔고 40대에 진한 사랑에 빠져 바람을 피운것이 하나의 악을 범한 것이었지만 그 자체는 순수했다. 이디스가 그를 사랑하지 않았고 그의 서재도 자기 마음대로 바꾸는등 멋대로 했기에 스토너는 그녀와 너무나 다른 착하고 아름다운 캐서린에게 저절로 사랑을 느꼈을 수 밖에 없었다.
"어리석고 맹목적이었던 연애시절과 신혼시절에는 이디스에게 그 열정을 주었다. 그리고 캐서린에게도 주었다. 그때까지 한 번도 열정을 주어본 적이 없는 사람처럼. 그는 방식이 조금 기묘하기는 했어도, 인생의 모든 순간에 열정을 주었다. 하지만 자신이 열정을 주고 있음을 의식하지 못했을 때 가장 온전히 열정을 바친 것 같았다. 그것은 정신의 열정도 마음의 열정도 아니었다. 그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힘이었다. 그 두 가지가 사랑의 구체적인 알맹이인 것처럼. 상대가 여성이든 시든, 그 열정이 하는 말은 간단했다. 봐! 나는 살아있어."
그 무엇이 되었든 그것이 사람이든 일이든 취미이든 열정을 바칠 수 있다면 살아있다는 것이다.
스토너는 인생의 승리자였다. 잔잔하고 재미있었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어른들을 위한 최소한의 전쟁사 (2025.5.25) (2) | 2025.05.25 |
---|---|
요즘 어른들을 위한 최소한의 세계사 (2025. 5.21) (14) | 2025.05.22 |
요즘 어른들을 위한 최소한의 한국사(2025.5.8) (0) | 2025.05.11 |
지적 생활의 즐거움(2025.5.3) (4) | 2025.05.03 |
최소한의 한국사 (2025.5.2) (5) | 2025.05.03 |